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두부 다이어트 식단 조절 방법
    맛있게 다이어트하기 2021. 7. 5. 23:48
    반응형

    두부 다이어트 식단 조절 방법

    무더운 여름, 코 앞에 다가온 휴가를 앞두고 다이어트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덜 먹고 많이 움직여야 한다는데, 덜 먹는 것도 쉽지 않고, 더운 날씨 때문에 더 많이 움직이는 것도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다이어트 식단 하실 때는 덜 먹는 것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것만큼 '어떤 것'을 먹는가 하는 부분도 정말 중요한데요. 다이어트 하실 때 좋은 단백질을 챙겨먹는 것, 정말 중요하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건강은 물론,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유명한 두부에 대해 알아보고, 두부 다이어트 식단 조절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찐으로 두부 알아보기

    1) 두부?

    두부는 콩을 물에 담가 불린 후 갈아서 가열하고, 응고제를 첨가해 굳혀낸 식품으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입니다. 두부의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을 함유한 양질의 단백질일 뿐 아니라, 소화흡수율이 매우 높은 편입니다.

     

    2) 두부마다 칼로리가 다르다?

    두부는 만드는 과정에 따라 다른 형태를 띠는 것은 물론, 영양과 칼로리도 달라집니다. 먼저, 가장 흔한 두부인 모두부는 네모난 모양으로 각이 딱 잡힌 형태가 특징이며, 100g당 97kcal 입니다. 순두부는 콩물 응고 후 수분을 거의 제거하지 않은 상태로 만들어진 형태로, 수분 함량이 가장 높은 두부입니다. 100g당 40kcal 정도로 두부 중 가장 저칼로리에요.

     

     

    연두부는 모두부와 순두부 중간쯤 되는 형태로 순두부보다는 형태를 갖추고 있지만 모두부보다는 말랑하고 촉촉한 식감이 특징인데요. 100g당 50kcal로 저칼로리이면서 포만감을 느끼기 좋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많이 섭취하는 형태죠. 유부는 두부를 얇게 썰어 기름에 튀겨낸 것으로 수분 함량이 가장 적고 칼로리는 100g당 360kcal 정도 됩니다.

     

    3) 두부의 효능

    두부는 고단백 식품이면서도 높은 수분 함량으로 포만감을 느끼기 좋고, 지방 흡수를 억제하는 데도 도움을 주어 다이어트에 좋을 뿐 아니라, 칼슘 함유량이 높아 골다공증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또한 콩에 함유된 이소플라본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 여성에게도 좋다고 하네요. 

     

    두부 다이어트 식단 조절 방법 및 주의사항

    두부는 고단백 저칼로리 식품으로 다이어트 식단에 활용하기 좋은 식품이지만, 하루 세 끼를 모두 두부로 드실 필요는 없습니다. 하루에 한 끼, 이왕이면 저녁 식사로 두부를 먹는 걸 추천하는 편입니다.

     

    두부 다이어트 식단 조절 시 두부를 적당량 섭취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두부에는 사포닌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사포닌 성분을 다량 섭취하게 되면 몸 속 요오드가 같이 배출되므로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무리 저칼로리 식품이어도 기름에 튀기게 되면 고칼로리 식단이 될 수 밖에 없으므로 가능한 두부 다이어트 시에 두부는 튀기거나 기름에 부쳐 먹지 않도록 하며, 대신 살짝 데치거나 생식으로도 맛있게 먹을 수 있는 연두부를 먹으면 좋습니다.

     

     

    두부 다이어트 식단의 장점으로 다양하게 다이어트 식단을 할 수 있다는 점이 있는데요. 기본적으로 나오는 무두부나 순두부, 연두부 외에도 요즘에는 두부면이나 포두부 등 다양한 형태의 두부 제품이 있어 자칫 질릴 수 있는 다이어트 식단을 보다 풍부하게 구성할 수 있는 두부 다이어트 레시피가 많답니다ㅎㅎ

     

    이상 이번 포스팅을 통해 두부에 대해 쭉 정리해보고, 두부 다이어트 식단 조절 방법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는데요. 다이어트뿐 아니라, 건강에도 좋은 식품이니만큼 건강하고 맛있게 두부 다이어트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